부분유방방사선치료 시 양성자치료가 다른 방사선치료법에 비해 심장, 폐 등 정상조직으로의 불필요한 방사선조사를 상당부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암센터(원장 이진수) 신경환 박사·문성호 연구팀은 총 30명의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유방보존수술 후 부분유방방사선치료 시 기존방사선치료와 세기조절방사선치료, 토모치료, 양성자치료에 따른 정상조직의 방사선 조사량을 비교한 결과 양성자치료의 경우 정상 조직에 조사된 선량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에 따르면 처방선량의 20%를 받는 방사선치료를 받는 유방과 같은 쪽에 있는 폐의 경우 양성자치료는 평균 0.4%로 다른 세 치료법(평균 2.3%~14.2%)에 비해 가장 적었다.
좌측 유방암환자에서는 처방방사선량의 20%와 10%를 받는 심장부위가 양성자치료에서는 각각 0%였고, 나머지 치료법에서는 평균 1.2%~8%, 3.1~19.8%로서, 양성자치료가 주변 정상 조직에 불필요하게 조사되는 방사선을 거의 완벽하게 피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신경환 박사는 “최근 부분유방방사선 치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한 가운데 양성자치료가 다른 방사선치료법에 비해 정상조직에 대한 방사선조사량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부분유방방사선 치료를 양성자치료로 시행하는 경우, 방사선치료로 인한 폐, 심장 등 정상조직 합병증은 거의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논문은 학술저널 방사선치료와 종양학(Radiotherapy and Oncology, IF:4.074) 2009년 1월호에 게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