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국립암센터 암등록통계과 신해림<사진> 박사팀이 1993~2002년까지 통계청 사망자료와 중앙암등록본부 국가암발생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자궁경부암 사망률을 분석한 결과이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1993년에 여성 10만명당 5.2명에서 2002년에 3.9명으로 감소하였으며, 자궁경부암 사망률은 매년 4%씩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령군별 자궁경부암 사망률은 30~69세 여성에서는 감소하고 있지만, 70세 이상에서는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신해림 박사는 “30~69세에서 자궁경부암 사망률이 감소한 이유 중 하나는 조기검진”이라면서 “하지만 70세 이상에서는 아직도 자궁경부암 사망률이 증가하고 있으므로(매년 3.62% 증가), 70세 이상의 여성들이라도 자궁경부암 검진을 통하여 조기발견을 하여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 박사팀은 자궁경부암 사망률의 정확한 추세를 확인하기 위하여,통계청 사망원인자료에서 산출된 자궁경부암 사망자 수에 자궁 상세불명 사망자가 암등록자료에 자궁경부암으로 등록된 경우 이를 추가하여 보정하는 방법과 상세불명인 자궁암으로 사망한 자들 중에서 사망이전에 암으로 진단받고 국가암발생DB에 등록된 모든 경우 중 자궁경부암의 등록비율을 연령군별로 자궁상세불명 암 사망자 수에 곱하고 이를 자궁경부암 사망자수에 추가하여 보정하는 방법을 통해 이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번 논문은 International Journal of Cancer 2008년 1월 15일자에 게재되었다.
[성인병뉴스] 기사입력 2008-03-17, 1:53
- Copyrights ⓒ 성인병 뉴스 & cdpnew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