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에 따르면, 차수별 인구 대비 접종률은 1차접종 87.9%(4,509만 명), 2차접종 87.0%(4,465만 명, 얀센 백신 1회 접종자 포함), 3차접종 65.2%(3,348만 명), 4차접종 11.5%(589만 명)이다.
4차접종은 50세 이상 연령층 전체, 18세 이상 면역저하자 및 기저질환자, 감염취약시설(요양병원·시설, 정신건강증진시설, 장애인 및 노숙인 시설) 입원·입소자·종사자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다. 8월 말 기준, 4차접종 인구 대비 접종률은 11.5%이다. 4차접종 대상연령인 50세 이상의 대상자 대비 접종률은 30.1%이다.
3차접종은 12세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하며, 18세 이상 성인과 12~17세 청소년 중 고위험군에게 적극 권고하고 있다. 8월 말 기준, 대상자(접종간격 도래자, 4,459만 명) 대비 접종률은 75.1%이며, 60세 이상의 대상자 대비 접종률은 93.9%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청소년(12~17세, 2010년생 중 생일이 지난 사람~2005년생)은 현재까지 총 29.4만 명이 3차접종에 참여(대상자 대비 16.2%)했다.
기초접종은 5세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하며, 12세 이상 전체와 5~11세 소아 중 고위험군에게 적극 권고하고 있다. 18세 이상 성인의 기초접종률은 96%를 초과하여 매우 높으며, 12~17세(2005~2010년생) 청소년의 기초접종률 또한 66%를 초과했다. 5~11세(2017년생 중 생일이 지난 사람~2010년생 중 생일이 지나지 않은 사람) 소아 중 6.4만 명이 1차접종에 참여하였으며, 4.5만 명이 2차접종을 완료했다.
추진단은 코로나19 예방접종 시작 이후 현재까지 신고된 이상반응 의심사례에 대한 주간(74주차, 7.31. 0시 기준)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전체 예방접종 126,725,952건 중 이상반응은 473,755건(0.37%)이 신고되었으며, 일반 이상반응은 454,896건(96.0%), 중대한 이상반응은 18,859건(4.0%)이었다. 일반 이상반응은 주사부위의 통증, 발적 등 국소이상반응과 발열, 근육통 등 전신이상반응이고, 중대한 이상반응은 중증, 사망, 아나필락시스 및 주요 이상반응이다.
5~18세 소아·청소년 예방접종 6,698,676건 중 이상반응은 21,131건(0.31%)이 신고되었고, 신고사례 중 일반 이상반응은 20,507건(97.0%), 중대한 이상반응은 624건(3.0%)이었다.
추진단은 안전한 예방접종을 위해 코로나19 백신 접종 이후 발생할 수 있는 이상반응에 대한 주의를 당부했다.
접종받는 사람은 예방접종 이후 15~30분간 접종기관에 머물러 이상반응 발생 여부를 관찰하고, 귀가 후에도 적어도 3시간 이상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하며, 접종 이후 최소 3일간은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관찰하고, 고열이 있거나 평소와 다른 신체 증상이 나타나면 의사 진료를 받도록 해야 한다. 특히, 중증 알레르기 반응(아나필락시스)이 나타나면 즉시 119로 연락하거나 가까운 응급실로 내원해야 한다.
추진단은 화이자, 모더나 백신 접종 이후 ① 가슴 통증, 압박감, 불편감 ② 호흡곤란 또는 숨가쁨, 호흡시 통증 ③ 심장이 빠르게 뛰거나 두근거림 ④ 실신 등 심근염/심낭염 의심증상이 나타나면 신속히 의료기관 진료를 받도록 당부했다.
특히, 예방접종 이후 이상반응 의심 환자를 진료한 의료기관은 심근염, 심낭염 등 신속한 진단·치료 및 예방접종 이후 이상반응 신고를 철저히 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아울러, 이상반응 신고만으로 피해보상 절차가 진행되지는 않으므로, 피해보상을 신청하고자 하는 경우는 의사 등이 이상반응을 신고한 이후 접종받은 자(또는 보호자)가 필요서류를 구비하여 관할 보건소로 신청하여야 함을 강조했다.
현재,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보상 신청 절차 및 필요서류 목록은 코로나19 예방접종 누리집에 게재하였으며, 질병관리청 콜센터(국번없이 1339)를 통해서도 관련 내용을 안내받을 수 있다.
[노용석 기자] ys339@daum.net
[성인병뉴스] 기사입력 2022-08-04, 10:29
- Copyrights ⓒ 성인병 뉴스 & cdpnew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