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 미디어 사용과 우울증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한 많은 연구에서 이 두 가지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시사하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새로운 연구는 1년 동안 약 5,40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소셜 미디어 사용과 우울증 발병을 조사한 결과 이다. 대상자들은 조사 전 대부분 처음에 가벼운 우울증을 보고하지 않았다.
그러나 12개월에 걸친 여러 설문조사에서 일부 응답자의 우울증 상태가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Snapchat, Facebook 및 TikTok의 세 가지 매우 인기 있는 소셜 미디어 사이트를 사용하면서 위험이 증가했다.
새로운 연구의 주저자인 Roy Perlis 박사(매사추세츠 종합병원 실험 약물 및 진단센터 소장)는 “소셜 미디어가 실제로 우울증을 유발하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명확하지 않다.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한 한 가지 가능한 설명은 현재 우울하지 않더라도 우울증에 걸릴 위험이 있는 사람들이 소셜 미디어를 사용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이며, 또 다른 하나는 소셜 미디어가 실제로 우울증에 기여한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구팀은 성인의 취약성을 조사하기 위해 18세 이상의 소셜 미디어 사용자(평균 연령: 약 56세)에 초점을 맞췄다. 이들 중 약 3분의 2가 여성이었고 3/4 이상이 백인이었다.
대상자들은 모두 Facebook, Instagram, LinkedIn, Pinterest, TikTok, Twitter, Snapchat 및 또는 YouTube와 같은 플랫폼 사용에 대한 초기 설문조사를 완료했다.
또한 참가자들에게 뉴스 소비 습관과 슬프거나 우울할 때 사회적 지원에 대한 접근에 대해 질문했다.
첫 번째 설문조사에서 우울증의 징후를 보이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그러나 유사한 추적 조사를 한 번 이상 완료한 후 거의 9%가 우울증 위험 점수에서 상당한 증가를 보였다.
35세 이상의 TikTok 또는 Snapchat 사용자에게는 위험이 증가했지만 젊은 사용자에게는 그렇지 않았다. Facebook 사용자의 경우 우울증 위험은 35세 미만에서 증가했지만 고령 사용자에서는 증가하지 않았다.
이번 연구에 대해 조지아대학의 Amanda Giordano 교수(상담 및 인간 개발 서비스 전공)는 "연구 결과는 우울 증상과 소셜 미디어 사용 사이의 관계를 조사한 다른 연구와 일치한다."면서 "소셜 미디어 사용과 우울 증상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한 가지 가설은 자신의 불완전한 삶을 다른 사람의 삶에 대한 강화되고 편집되고 겉보기에 완벽한 이미지와 비교하는 행위이다. 이것만으로는 우울 증상의 원인이 아닐 수 있지만, 다른 위험 요소와 소인이 있는 개인의 경우 소셜 미디어 사용이 증상의 발병에 기여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JAMA Network Open 최신호에 게재되었다.
[노용석 기자] ys339@daum.net
[성인병뉴스] 기사입력 2021-12-01, 8:44
- Copyrights ⓒ 성인병 뉴스 & cdpnew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