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X]

회사소개 광고문의 즐겨찾기
로그인 회원가입 ID/PW찾기
회사소개 고객센터 광고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07월 11일 (금) 04:47 주요뉴스 국제수준의 임상시험 역량 강화
명의탐방 신제품정보 오늘의동정 데스크칼럼 커뮤니티 구인 구직
HOME > 해외소식 프린트 기사목록 l 이전글 다음글
‘도나 네맙’, 알츠하이머 완화 효과
2상 연구결과, “뇌 기능 저하 현저히 늦춰”

알츠하이머 환자 10명 중 약 7명이 도나 네맙(donanemab)이라는 실험 약물로 치료한 후 질병의 특징인 뇌 플라크가 없어 졌다는 임상 시험 결과가 나왔다.

뉴 잉글랜드 의학저널(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 최근 발표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도나 네맙(donanemab)이라는 약물이 환자의 뇌 기능 저하를 현저히 늦춘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인디애나 의과대학의 알츠하이머병 연구 교수인 Liana Apostolova 박사는 “Donanemab은 알츠하이머 병 환자의 뇌에 축적되는 독성 끈적끈적한 단백질인 아밀로이드 베타의 영구적인 플라그 침착물을 용해시킨다.”고 밝혔다.

이번 2상 임상 시험에는 257명의 환자가 참여했으며, 이 중 약 절반은 최대 1년 반 동안 4주마다 ‘도나 네맙’을 정맥 주사했다. 나머지 절반은 위약을 받았다.

Liana Apostolova 박사는 "이 약물은 뇌에서 아밀로이드를 제거하는데 매우 효율적이어서 실험이 끝날 때까지 아밀로이드 수치가 높은 사람의 70%가 본질적으로 아밀로이드 음성 범위에 있었다."면서 "아밀로이드를 성공적으로 제거한 다른 약물에 대해서는 오늘날 이러한 비율이 보고되지 않았기 때문에 매우 놀랍다."고 말했다.

알츠하이머병은 환자의 뇌 조직 내에 "엉킴"을 형성하는 ‘타우’라고 하는 두 번째 종류의 단백질이 축적되는 것이 특징이다. 과학자들은 점점 더 ‘타우’가 알츠하이머병에서 활동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있다.

Apostolova 박사는 ‘도나 네맙은 후기 알츠하이머병의 특징인 타우 단백질 엉킴을 표적으로 하거나 치료하지 않지만 연구자들은 아밀로이드 베타의 뇌를 씻어 냄으로써 타우 축적을 예방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참가자 중 절반 이상이 치료가 잘 작동하여 치료를 중단 할 수 있었으며, 근본적으로 아밀로이드 음성이었기 때문에 더 이상 치료할 필요가 없었다."라고 설명했다.

이 약물은 또한 뇌 운동 테스트를 기반으로 알츠하이머병의 진행을 늦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약은 복용하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복용하는 사람들의 성능이 32% 향상되었다. 위약 투여군과 비교하여 두 그룹 모두 감소했지만 donanemab 그룹은 32%나 감소했다.

모든 뇌 운동 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은 아니지만, 모두 20%에서 40%까지 진행 속도가 느려지는 경향이 있다고 Apostolova 박사는 말했다.

임상 실험 참가자의 약 4분의 1이 작은 혈관의 미세 출혈로 인해 뇌의 부종을 경험했다고 보고 됐다. 6%는 이러한 부작용과 관련된 증상을 나타냈다. 증상에는 두통, 정신 상태의 변화, 혼란, 구토, 메스꺼움 및 걷기 어려움이 포함될 수 있다.

Donanemab이 3상 임상 시험에 들어갈 때 고려해야 할 이러한 부작용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주요 단서가 될 것으로 보인다.

Apostolova 박사는 3상 시험을 포함한 향후 연구는 누가 뇌부종의 위험이 더 높은지, 그리고 복용량을 줄이면 이러한 위험을 피할 수 있는지에 초점을 맞춰야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이 약의 개발사인 Eli Lilly가 자금을 지원했다.

[노용석 기자] ys339@daum.net
[성인병뉴스] cdpnews@cdpnews.co.kr  기사입력 2021-03-18, 9:17
- Copyrights ⓒ 성인병 뉴스 & cdpnew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제공 [성인병 뉴스]
트위터 페이스북
 신진우 대한통증학회회장
"통증 질환 예방·치료
 선우웅상 가천대 길병원..
 백혜정 가천대 길병원 ..
JW중외제약, ITP 치료제 '타발..
비장 티로신 인산화효소 억제 혁신신약 JW중외제약이 면역성 혈소판 감소증(ITP) 치료제 ‘타발리..
지역 필수의료 175개 포괄 2차 종합병원 선정
의료개혁 2차 실행방안
2025 보건의료 연구개발 예산
'수술실 CCTV 설치' 논란
"탄탄한 감염병 대응 체계 갖춰야"
“적정 수가 기반 개원환경 개선 절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