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초의 고정비율 통합제제(이하 FRC) 당뇨병 치료제인 ‘솔리쿠아®’가 지난 3일부터 5일까지 온라인으로 개최된 ICOMES 2020에서 인슐린 강화요법이 필요한 제2형 당뇨병 환자에 체중 증가의 부담 없이 목표 혈당 조절이 가능한 치료옵션으로 지목됐다.
세종병원 내분비내과 정수진 과장은 4일 오전 <제2형 당뇨병 환자 주사제 치료 패러다임의 전환: 고정비율 통합제제의 이점>(Challenging the injectable treatment paradigm in T2DM: Rationale for fixed-ratio co-formulation)라는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또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인슐린 강화요법의 중요성과 고정비율 통합제제(FRC, Fixed-ratio Co-formulation)의 임상적 유용성에 대해 발표했다.
기존에 발표된 연구들을 바탕으로 한 발표에 따르면, 제2형 당뇨병 환자에게 적용되는 초기 인슐린 치료요법을 통해 치료 3개월 후 당화혈색소 7% 미만으로 목표 혈당에 도달하는 환자는 27%에 불과하며, 이런 환자의 경우 24개월 이후에도 목표 혈당 도달에 실패할 위험성이 높다.
이런 환자의 경우 인슐린 강화요법을 적기에 시작함으로써 혈당 조절, 저혈당 사건 예방 및 당뇨병 치료의 비용 효과 측면에서 여러 이점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미국임상화학회(AACC)는 가이드라인을 통해 기저인슐린 치료 3개월 이후 당화혈색소 목표에 도달하지 못한 환자들에 대해 인슐린 강화요법을 권장하고 있다.
정수진 과장은 “인슐린 치료 3개월을 기점으로 인슐린 강화요법의 필요성을 빠르게 판단하여 전환하는 것이 목표 혈당에 도달할 수 있는 지름길이다. 이미 여러 임상을 통해 그 유용성이 검증된 고정비율 통합제제는 인슐린 강화요법의 이점을 부각시킬 수 있는 치료옵션 중 하나”라며, “특히 고정비율 통합제제 솔리쿠아®는 간소화된 투약방법으로 환자의 치료 순응도를 개선하고, 우수한 혈당 조절 효과와 안전성 프로파일이 확인되었기 때문에 인슐린 강화요법으로서 큰 장점을 지닌 치료옵션”이라고 강조했다.
발표에서 솔리쿠아®는 기저 인슐린과 GLP-1 RA를 고정비율로 함께 투여하는 펜 타입의 주사제로 각 제제를 단독 투여하는 경우에 비해 저혈당 발생을 증가시키지 않고, 체중 증가 또는 위장관계 이상반응 부작용을 균형 있게 조절하며 목표 혈당에 도달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당뇨병 치료 옵션으로 소개됐다.
특히, 정수진 과장은 인슐린에 기반한 강화요법 중 GLP1-RA가 다른 옵션 대비 식후 혈당 감소에 더 높은 효과를 보였으며, 식후 인슐린 요법 대비 저혈당 및 체중 증가의 부작용도 낮았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