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X]

회사소개 광고문의 즐겨찾기
로그인 회원가입 ID/PW찾기
회사소개 고객센터 광고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07월 14일 (월) 09:26 주요뉴스 치매 위험, 지역사회 환경에 영향
명의탐방 신제품정보 오늘의동정 데스크칼럼 커뮤니티 구인 구직
HOME > 제약/유통 프린트 기사목록 l 이전글 다음글
사노피, 최신 당뇨병 치료 지견 논의
전국 9개 도시에서 ‘투제오® 앰배서더 심포지엄’ 열려

사노피-아벤티스 코리아가 10월 15일부터 25일까지 전국 9개 도시에서 당뇨병에 대한 최신 치료 지견을 논의하는 ‘투제오® 앰배서더 심포지엄’을 열었다.

‘앰배서더’는 우리 말의 ‘대사’라는 뜻으로, 전국 각지의 당뇨병 및 내분비내과 전문가들이 당뇨병 대사로서 당뇨병 환자의 건강 및 삶의 질 개선에 기여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올해는 지역을 더욱 확대해서 서울을 비롯, 광주, 김해, 대구, 대전, 부산, 울산, 제주, 진주 등 전국 9개 도시에서 진행됐으며, 올해도 마찬가지로 당뇨병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 활동을 펼치고 있는 주요 연구자 및 전문가들이 참석해 성황을 이뤘다.

이번 앰배서더 심포지엄에서는 최근 제 78회 미국당뇨병학회(이하 ADA) 에서 발표된 투제오®와 인슐린 데글루덱 간의 첫 직접 비교 무작위대조시험인 BRIGHT 연구결과가 공유돼, 투제오가 낮은 저혈당 발생률과 더불어 강력한 혈당 강하 효과를 보여 많은 환자를 목표 혈당에 도달시켰다는 점이 강조됐다.

또한, DELIVER D+ 와 LIGHTNING-PM 등 실제 임상 근거(Real-World Evidence, RWE) 결과들이 공유됐으며, 실제 임상 현장에서 이를 어떻게 이해하고 적용할지 등 실질적인 논의가 이뤄졌다.

앰배서더 심포지엄 첫 번째 세션에서는 BRIGHT 연구에 대해 집중적으로 소개하는 한편, 실제 임상 현장에서 BRIGHT 연구 결과를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논의가 이뤄졌다.

BRIGHT 연구에서, 투여 24주 후 투제오® 투여군과 인슐린 데글루덱 투여군은 각각 -1.64%, -1.59%의 당화혈색소(HbA1c) 감소효과를 나타내며 일차 평가변수를 충족시켰다. 또한, 투여 초기 12주 기간 동안 투제오® 투여군에서 인슐린 데글루덱 투여군 대비 하루 동안 저혈당 사건 (event rate)은 23%, 저혈당 발생률(incidence)은 26% 낮았고, 야간(0시 ~ 6시) 저혈당 사건은 35% 낮게 관찰됐다(p<0.05).

투여 첫 12주는 용량 적정(titration) 기간으로, 인슐린 요법을 시작한 환자에 있어 가장 적합한 용량의 인슐린과 투여 시기를 결정하기 위해 약제에 대한 개인별 반응을 관찰하고 보건의료전문가와 상담하며 주의 깊은 혈당 모니터링이 필요한 시기이다.

인슐린 치료를 시작하는 당뇨병 환자에게 있어 저혈당은 가장 우려되는 문제 중 하나로, 저혈당에 대한 걱정은 적극적인 인슐린 치료를 통한 혈당 조절을 방해하는 요인이다. 용량 적정(titration) 기간 동안에 인슐린을 안정적으로 투여할 경우, 혈당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혈당 관리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인슐린 치료의 미충족 요구, 혈당변동성의 중요성과 더불어, RCT연구와 RWE의 특성 및 임상적 가치에 대해 다뤄졌으며 투제오®의 최신 RWE 연구 결과들이 소개됐다.

최근 ADA에서 발표된 투제오®의 RWE인 LIGHTNING-PM에서, 투제오® 또는 인슐린 데글루덱 등 차세대 기저인슐린으로 치료 받은 환자군을 비교한 결과, 기존 인슐린 치료 경험이 없는 환자에게 투제오®를 투여하는 경우에 인슐린 데글루덱 투여 환자군 대비 중증 저혈당 사건 발생률이 25% 낮은 것으로 예측되었다.

LIGHTNING-PM은 미국에서 장시간 지속형 기저 인슐린으로 치료 받은 성인 환자112,626명의 전자 의료기록을 평가한 대규모, 후향적, 실제 임상 근거 비교연구이다.

사노피 당뇨순환기 사업부를 총괄하는 제레미 그로사스(Jeremy Grossas) 전무는 “이번 앰배서더 심포지엄으로 주요한 당뇨병 치료 방안 중 하나인 투제오의 과학적인 연구결과를 폭넓게 공유할 수 있어 뜻 깊게 생각한다”면서, “사노피는 당뇨병 치료 분야의 리더로써 앞으로도 최신 치료 데이터와 연구 결과를 현장 전문가들에게 공유해 한국 당뇨병 환자들의 삶을 변화시키는데 지속적으로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노용석 기자] ys339@daum.net
[성인병뉴스] cdpnews@cdpnews.co.kr  기사입력 2018-10-26, 14:39
- Copyrights ⓒ 성인병 뉴스 & cdpnew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제공 [성인병 뉴스]
트위터 페이스북
 신진우 대한통증학회회장
"통증 질환 예방·치료
 선우웅상 가천대 길병원..
 백혜정 가천대 길병원 ..
JW중외제약, ITP 치료제 '타발..
비장 티로신 인산화효소 억제 혁신신약 JW중외제약이 면역성 혈소판 감소증(ITP) 치료제 ‘타발리..
지역 필수의료 175개 포괄 2차 종합병원 선정
의료개혁 2차 실행방안
2025 보건의료 연구개발 예산
'수술실 CCTV 설치' 논란
"탄탄한 감염병 대응 체계 갖춰야"
“적정 수가 기반 개원환경 개선 절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