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X]

회사소개 광고문의 즐겨찾기
로그인 회원가입 ID/PW찾기
회사소개 고객센터 광고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05월 21일 (수) 07:56 주요뉴스 담배규제정책 포괄적 강화 중요
명의탐방 신제품정보 오늘의동정 데스크칼럼 커뮤니티 구인 구직
HOME > 보건정책 프린트 기사목록 l 이전글 다음글
장애인 1인당 진료비 3.3배 높아
등록장애인 건강 통계 발표, 총진료비는 신장장애가 최고
장애인 1인당 진료비가 전체 인구 1인당 진료비보다 3.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장애유형별로 보면 신장장애가 2529만원으로 가장 낮은 자폐성 장애보다 20.7배나 차이났다.

23일 보건복지부와 국립재활원이 장애인등록 자료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요양급여 자료를 연계 분석해 등록장애인의 의료이용, 진료비 등 건강통계를 발표했다.

의료기관 이용 일수를 보면 2015년 장애인 1인당 연평균 요양기관 방문일수는 71.6일로 2002년 42.3일에 비해 1.7배 증가했고, 이는 전체인구 2015년 전체 적용인구 1인당 연평균 입·내원일수는 22.6일에 비해 3.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 1인당 연평균 입원일수는 2015년 75.4일로 2002년 48.5일에 비해 1.6배 증가하였고, 전체인구 2015년 전체 적용인구 1인당 연평균 입원일수는 24.7일 대비 약 3.1배를 보였다.

외래일수는 2015년 35.6일로 2002년 23.5일에서 1.5배로 증가하여, 전체인구 2015년 전체 적용인구 1인당 연평균 외래일수는 18.6일 대비 약 1.9배 증가했다.

약국 방문일수는 2015년 17.4일로 2002년 12.4일에서 1.4배로 증가하여, 전체인구 2015년 전체 적용인구 1인당 연평균 약국 방문일수는 18.6일 대비 약 0.9배였다.

요양기관 방문일수는 신장장애가 147.2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정신장애 137.6일, 뇌병변 장애가 103.6일 순으로 나타났다. 자폐성 장애가 31.4일로 가장 적고, 가장 많은 신장장애의 5분의 1수준이었다.

장애인 총 진료비는 2002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다가 2015년 처음 감소했다.

장애인의 2015년 총 진료비는 10조5000억원으로 2014년 10.6조원에서 859억원 줄었으나, 2002년에 대비 8.1배 증가하였다. 등록장애인이 1.9배 증가한 것을 감안한 인구 증가율 대비 진료비 증가율도 3.4배에 달한다.

2015년에는 전체인구 중 약 5%를 차지하는 장애인의 진료비가 전체인구의 총 진료비 64조8000억 원 중 16.2%를 차지했다.

장애인 1인당 연평균 진료비는 2002년 이후 꾸준한 증가세를 보여 2015년에는 438만9000원으로 전체 인구 1인당 연평균 진료비 132만6000원보다 3.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 1인당 요양기관 내원 1일당 평균 진료비는 2015년 6만1000원으로 2002년 3만3000원에 비해 1.9배 증가했으며, 이는 전체인구 2015년 전체 적용인구 1인당 요양기관 연평균 방문 1회당 진료비는 58.7천원보다 2,600원이 많았다.

장애노인 1인당 연평균 입원 진료비는 804만8000원으로 장애인 1인당 연평균 입원 진료비보다 36만9000원 더 많았고, 이는 전체노인의 1인당 연평균 입원 진료비의 1.3배 수준이다.

2015년 여성 장애인 1인당 연평균 진료비는 480만2000원으로, 남성 장애인 1인당 연평균 진료비 408만4000원보다 71만8000원 많았다. 전체인구 중 여성의 1인당 연평균 진료비(138만8000원)보다 341만4000원 높은 수준이다.

신장 장애인의 1인당 연평균 진료비가 2528만9000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간 장애인(1297만1000원), 뇌병변 장애인(781만4000원), 정신 장애인(684만8000원)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자폐성 장애인의 1인당 연평균 진료비는 122만2000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나, 신장 장애인 1인당 연평균 진료비보다 20.7배 높게 나타났다.

등록장애인의 다빈도질환 1순위는 치은염 및 치주질환이다. 장애등록이후 10년 미만, 10~19년, 20년 이상 등 경과기간에 상관없이 치은염 및 치주질환이 1순위 다빈도질환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급성기관지염, 등통증, 본태성 고혈압, 무릎관절증, 인슐린-비의존 당뇨병 순으로 장애 관련 질환뿐만 아니라 만성질환이 상위에 분포되어 있었다.

다빈도질환 50순위내 중 조현병이 1인당 연평균 총진료비가 527만 원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뇌경색증 276만4000원으로 장애 관련 질환의 진료비 비중이 높았다.

장애인 다빈도질환 1인당 연평균 총진료비는 전반적으로 장애등록 10년 미만 시기에 진료비 비중이 가장 높고, 10~19년에는 낮아졌다가 20년 이후에는 다시 소폭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보건복지부는「장애인 건강권 및 의료접근성 보장에 관한 법률(이하 장애인 건강권법)」시행(2017.12월)에 따라 비장애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장애인의 건강상태 개선을 위한 제도 도입 및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장애인 건강검진기관 지정(7월~)을 통한 건강검진 접근성 강화, 장애인 건강주치의제 도입(5월~, 시범사업)을 통한 건강관리 서비스 강화, 중앙과 지역 장애인보건의료센터 지정(3월~)을 통한 지역사회 장애인 건강보건관리 지원체계 구축 등을 추진 중이다.

이범석 국립재활원장은 “장애인 스스로가 건강과 질병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자가 관리를 통해 역량 강화할 수 있는 방안 마련에 노력을 기울이겠다”며 “국립재활원이 중앙장애인보건의료센터로 지정된 만큼 장애인 건강권 보장을 위한 지원 및 연구를 위한 장애인 보건의료의 중추기관으로의 역할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의지를 전했다.

[노용석 기자] ys339@daum.net
[성인병뉴스] cdpnews@cdpnews.co.kr  기사입력 2018-04-24, 11:36
- Copyrights ⓒ 성인병 뉴스 & cdpnew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제공 [성인병 뉴스]
트위터 페이스북
 신진우 대한통증학회회장
"통증 질환 예방·치료
 선우웅상 가천대 길병원..
 백혜정 가천대 길병원 ..
경동제약, '스타진정·스타메진정..
시타글립틴 기반 당뇨 치료제 경동제약이 DPP-4 억제제 계열 제2형 당뇨병 치료제인 ‘스타진정’..
의료개혁 2차 실행방안
2025 보건의료 연구개발 예산
상급종합병원 확 바뀐다
'수술실 CCTV 설치' 논란
"탄탄한 감염병 대응 체계 갖춰야"
“적정 수가 기반 개원환경 개선 절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