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X]

회사소개 광고문의 즐겨찾기
로그인 회원가입 ID/PW찾기
회사소개 고객센터 광고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07월 10일 (목) 08:22 주요뉴스 기후변화에 발맞춘 기후보건영향평가
명의탐방 신제품정보 오늘의동정 데스크칼럼 커뮤니티 구인 구직
HOME > 제약/유통 프린트 기사목록 l 이전글 다음글
사노피 '렘트라다', 연장 연구 결과 공개
이상반응 발생률, 5년 차에서 1~4년차 보다 비슷하거나 감소
사노피 젠자임은 제7차 유럽 미국 다발성 경화증 연구 치료 공동 학술대회(MSPARIS2017)에서 렘트라다®의 연장 연구 데이터를 발표했다.

이번에 발표된 두 건의 3상 임상시험(CARE-MS I, CARE-MS II) 연장 연구에 따르면, 고용량 인터페론 베타(IFNB-1a) 군에서 렘트라다®로 전환하여 투여 받은 재발완화형 다발성 경화증 환자에서 질환 활성 (disease activity)에 대한 치료 효과가 5년에 걸쳐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렘트라다®의 3상 임상은 재발완화형 다발성 경화증 환자 중 질병 활성화 상태이면서 치료 경험이 없는 환자(CARE-MS I)와 기존 치료에도 불구하고 활성 상태인 환자(CARE-MS II)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두 임상에 참여한 환자 중 인터페론 베타 치료를 받았던 환자의 약 80%가 인터페론 베타 치료 중단을 선택하고 렘트라다® 치료를 시작하는 연장 연구에 참가했다.

이들은 렘트라다® 의 두 코스에 걸친 치료 이후, 5년 동안 연간 재발율 감소, 장애 개선, 뇌 위축 완화 및 MRI상 무 질환 활성 (free of MRI disease activity) 효과를 보였다. 또한, CARE-MS I과 CARE-MS II에 참여한 환자 중 인터페론 베타 치료를 받았던 환자의 각각 71%와 61%가 렘트라다® 의 두 코스에 걸친 치료를 완료한 후, 시험 5년 차까지 추가적인 치료를 받지 않았다.

감염 등을 포함한 대부분의 이상 반응 발생율은 렘트라다 치료 후 5년 차까지 1~4년 차와 비교하여 비슷하거나 감소했다. 갑상선 이상반응 발생율은 3년 차에 가장 높았고 이후 감소했다.

오하이오헬스 신경면역학 부문 시스템의학담당 아론 보스터 박사는 “이번에 발표된 렘트라다®의 연장 연구 데이터는 인터페론 베타 치료를 중단하고 렘트라다®로 교체한 대부분의 환자에서 질환 활성이 감소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이어 “환자의 3분의 2 정도가 렘트라다®의 두 코스에 걸친 치료를 완료한 후, 추가적인 치료를 받지 않았음에도 재발, 장애, 뇌위축 및 MRI 상 질병의 활동 등에서 효과가 5년동안 지속됐다”고 밝혔다.

렘트라다®는 임상 또는 영상적 특징으로 정의된 활성 상태의 재발 완화형 다발성 경화증 성인 환자의 치료제로 국내 허가 받았으며, 기존 치료(인터페론 베타 등 1차 치료제)에 실패한 재발완화형 다발성 경화증 환자를 위한 2차 치료제로 사용된다. 국내에서 2015년 11월 급여 출시됐다.

한편, 지난달 10월 25~28일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된 열린 제 7차 유럽 미국 다발성 경화증 연구 치료 공동 학술대회에서는 렘트라다®를 비롯해 오바지오®의 연구까지 새로운 30여 개의 데이터가 발표됐다.

[노용석 기자] ys339@daum.net
[성인병뉴스] cdpnews@cdpnews.co.kr  기사입력 2017-11-28, 15:49
- Copyrights ⓒ 성인병 뉴스 & cdpnew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제공 [성인병 뉴스]
트위터 페이스북
 신진우 대한통증학회회장
"통증 질환 예방·치료
 선우웅상 가천대 길병원..
 백혜정 가천대 길병원 ..
JW중외제약, ITP 치료제 '타발..
비장 티로신 인산화효소 억제 혁신신약 JW중외제약이 면역성 혈소판 감소증(ITP) 치료제 ‘타발리..
지역 필수의료 175개 포괄 2차 종합병원 선정
의료개혁 2차 실행방안
2025 보건의료 연구개발 예산
'수술실 CCTV 설치' 논란
"탄탄한 감염병 대응 체계 갖춰야"
“적정 수가 기반 개원환경 개선 절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