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X]

회사소개 광고문의 즐겨찾기
로그인 회원가입 ID/PW찾기
회사소개 고객센터 광고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07월 13일 (일) 19:04 주요뉴스 암 발생 관리 고도화 방안 논의
명의탐방 신제품정보 오늘의동정 데스크칼럼 커뮤니티 구인 구직
HOME > 제약/유통 프린트 기사목록 l 이전글 다음글
‘트레시바’ T.O.P 심포지움 개최
국내 발매 1주년 기념, 환자들의 삶의 질 개선에 대한 최신 지견 논의
한국 노보 노디스크제약(대표 라나 아즈파 자파)은 차세대 기저인슐린 트레시바 플렉스터치주(성분명 인슐린 데글루덱) 국내 발매 1주년 기념으로 개최한 ‘T.O.P 심포지움’을 지난 6일부터 서울, 광주, 부산, 대전, 대구 5개 도시에서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T.O.P 심포지움은 노보 노디스크와 트레시바의 환자를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Think Only Patients’의 가치관을 담아 기획되었으며, 서울에서 열린 심포지움은 국내 내분비내과 전문의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트레시바 치료에 대한 최신 지견을 공유하고 국내외 실제 임상에서의 효능 및 다양한 사례를 함께 살펴보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두 세션으로 나눠 진행된 이번 행사는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분비내과 윤건호 교수가 좌장을 맡은 가운데 진행되었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새로운 기저 인슐린 트레시바의 최신 임상 업데이트’를 주제로 영국 엑시터(Exeter) 의과 대학 임상 부교수 데이비드 스트레인(David Strain) 박사의 발표가 진행되었다.

스트레인 박사는 저혈당 발생 위험에 대한 안전성을 입증한 ‘SWITCH’ 임상 연구 결과, 트레시바가 인슐린 글라진 U100 대비 전체 저혈당, 야간 저혈당, 중증 저혈당 발생률에 있어 유의한 감소 효과 보였다고 발표했다. 또한, 트레시바의 심혈관질환 안전성을 입증한 ‘DEVOTE’ 임상 연구에서 트레시바가 인슐린 글라진 U100 대비 심혈관질환 사건에서 비열등성을 입증했으며, 중증 저혈당 발생률이 총 40%, 야간 중증 저혈당 발생률은 54% 감소했다고 소개했다. 스트레인 박사는 “SWITCH와 DEVOTE 임상 결과를 통해 트레시바의 우수한 혈당 조절 효과와 낮은 저혈당 발생률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환자의 삶의 질 개선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이어진 두 번째 세션에서는 ▲’실제 임상현장에서 입증된 트레시바의 효과’를 주제로 분당서울대병원 내분비내과 임수 교수의 발표가 진행되었다. 임수 교수는 △유럽 5개국에서 의사를 대상으로 진행된 트레시바 설문조사와 △세계 7개국에서 발표된 트레시바의 real-world evidence, 그리고 △한국에서 직접 환자에게 트레시바를 처방한 케이스 결과를 발표했다. 임수 교수는 “트레시바의 국내외 임상에서 실제 입증된 것과 같이 트레시바는 적은 용량으로 효과적인 혈당 조절은 물론 저혈당 발생의 우수한 안전성을 보였다”고 전했다.

한국 노보 노디스크 라나 아즈파 자파 사장은 “차세대 기저인슐린 트레시바의 국내 발매 1주년을 맞아 당뇨병 환자 치료에 매진하시는 선생님들과 차세대 기저인슐린 트레시바의 효능 및 당뇨병 치료의 최신 지견을 나누게 되어 매우 뜻 깊게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노보 노디스크제약은 국내 당뇨병 환자들에게 더 나은 치료옵션을 제공하고자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노용석 기자] ys339@daum.net
[성인병뉴스] cdpnews@cdpnews.co.kr  기사입력 2017-02-20, 10:23
- Copyrights ⓒ 성인병 뉴스 & cdpnew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제공 [성인병 뉴스]
트위터 페이스북
 신진우 대한통증학회회장
"통증 질환 예방·치료
 선우웅상 가천대 길병원..
 백혜정 가천대 길병원 ..
JW중외제약, ITP 치료제 '타발..
비장 티로신 인산화효소 억제 혁신신약 JW중외제약이 면역성 혈소판 감소증(ITP) 치료제 ‘타발리..
지역 필수의료 175개 포괄 2차 종합병원 선정
의료개혁 2차 실행방안
2025 보건의료 연구개발 예산
'수술실 CCTV 설치' 논란
"탄탄한 감염병 대응 체계 갖춰야"
“적정 수가 기반 개원환경 개선 절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