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관절의 주요 치료기관이 종합전문요양기관(3차 의료기관)에서 종합병원(2차 의료기관)으로 바뀌고 있다.
7일 관절·척추 전문병원인 혜민병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를 바탕으로 지난 2001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입원 심사지급분 중 입원일 기준으로 연도별, 종별, 수술건수를 추출한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인공관절 수술 환자는 매년 30~50% 증가하고 있으나 종합전문병원 수술환자 비율은 21~25%로 나머지 75~79%는 종합병원 등에서 시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 대형병원에서 주로 시행하던 인공관절 수술이 최근 몇년새 종합병원으로 대거 이동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종합병원들이 과거에 비해 과감하게 투자한 데 힘입어 진료 수준이 매우 높아진 데다 최신 장비 구축도 신속하게 이뤄지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혜민병원 인공관절센터 이인묵 소장은 “새로운 인공관절 수술 기구 개발과 기술의 진보 덕분에 오히려 환자들이 절차가 복잡하고 까다로운 종합전문병원보다 종합병원을 선호하는 것 같다”면서 “종합병원 등에서 수술받은 환자의 만족도 또한 95% 이상으로 매우 높은 편”이라고 말했다.
[손용균] 기사입력 2005-04-10, 20:43
- Copyrights ⓒ 성인병 뉴스 & cdpnew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