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X]

회사소개 광고문의 즐겨찾기
로그인 회원가입 ID/PW찾기
회사소개 고객센터 광고안내 회원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07월 09일 (수) 13:57 주요뉴스 기후변화에 발맞춘 기후보건영향평가
명의탐방 신제품정보 오늘의동정 데스크칼럼 커뮤니티 구인 구직
HOME > 제약/유통 프린트 기사목록 l 이전글 다음글
빔팻, 발작제어효과 입증
제 64차 미국신경학회(AAN) 연례 총회서 발표
한국유씨비제약은 뉴올리언스에서 열린 제64차 미국신경학회(AAN) 연례 총회에서 난치성 부분 발작이 있는 뇌전증 환자에게 빔팻을 단독 요법에 추가하여 사용한 결과, 발작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난 VITOBA (VImpaT® added to One Baseline AED) 임상 연구의 중간 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VITOBA 임상은 난치성 부분 발작이 있는 뇌전증 환자 500명을 대상으로 6개월 동안 단독 요법에 빔팻을 추가하여 효능과 안전성 및 내약성을 분석한 전향적 비개입 임상 연구이다.

이번 중간 결과에는 99명의 환자에 대한 효능 분석 데이터와 109명의 환자에 대한 안전성 분석 데이터가 포함돼 있다.

VITOBA 임상 연구는 통상적인 뇌전증 치료를 받던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이들 환자 중 대부분(73.4%)은 뇌전증 진단 후 1~3 종류의 약물을 복용했다.

연구에 사용된 빔팻의 평균 유지 용량은 1일 250mg이고 1일 용량 중앙치는 200mg이었다.

임상 연구 결과, 빔팻은 전체 환자 중 한 가지 약물로 치료 받는 환자, 즉 단독요법에 추가했을 때 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빔팻을 단독요법에 추가 사용한 환자의 86.7%에서 발작 빈도가 50% 이상 감소했고, 발작 빈도가 75% 이상 감소한 환자의 비율은 80%로 나타났다.

반면, 단독요법 외에 추가 약물을 복용한 전체 환자 중에서 발작이 50% 이상 감소한 비율은 77.8% 이고, 발작 빈도가 75% 이상 감소한 64.6%에 그쳤다.

또한, 지금까지 약물 치료 경험이 한 번 있는 환자의 66.7%에서 발작이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비해 전체 환자 중에서 감소한 비율은 43.4%이다.

또한, 치료로 인한 이상반응(TEAE)은 피로감 (11.9%), 어지럼증 (10.1%), 경련 (5.5%) 등이었다.

이번 임상 연구의 수석 연구원이며, 독일 유씨비제약의 뇌전증 의학부 이사인 마티어스 노악-링크 (Matthias Noack-Rink)는 “이번 연구결과가 최종 결과는 아니지만, 단독 요법 이후 빔팻을 추가 사용함이 효과적이라는 것이 입증되었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또한 연구가 완료되면, 이러한 효능이 완전히 입증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백 현아 기자
luvsoul@gmail.com
[백현아 기자]   기사입력 2012-05-08, 11:44
- Copyrights ⓒ 성인병 뉴스 & cdpnew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제공 [성인병 뉴스]
트위터 페이스북
 신진우 대한통증학회회장
"통증 질환 예방·치료
 선우웅상 가천대 길병원..
 백혜정 가천대 길병원 ..
JW중외제약, ITP 치료제 '타발..
비장 티로신 인산화효소 억제 혁신신약 JW중외제약이 면역성 혈소판 감소증(ITP) 치료제 ‘타발리..
지역 필수의료 175개 포괄 2차 종합병원 선정
의료개혁 2차 실행방안
2025 보건의료 연구개발 예산
'수술실 CCTV 설치' 논란
"탄탄한 감염병 대응 체계 갖춰야"
“적정 수가 기반 개원환경 개선 절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