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와이어스(대표이사 사장 이동수)는 국내 제 1회 예방접종 주간을 맞아 수막염, 패혈증 등을 포함한 폐렴구균성 질환 예방과 프리베나13 보충접종 중요성을 강조했다.
폐렴구균은 주로 어린 아이들의 코와 목에서 발견되는 균으로 재채기나 기침 시 발생하는 호흡 비말을 통해 전염되며, 수막염, 패혈증, 균혈증, 폐렴, 급성중이염 등을 일으킨다.
2005년 세계보건기구(WHO)는 매년 70만명에서 100만명에 이르는 5세 미만의 소아가 폐렴구균성 질환으로 사망하고 있다고 추산했다.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이환종교수는 “WHO 발표에 따르면, 수막염, 패혈증 등을 포함한 폐렴구균성 질환은 전세계적으로 5세 이하 아이들에게서 백신으로 예방 가능한 사망 원인 1위 질환”이라고 설명하고 폐렴구균성 질환 예방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1995-2005년까지의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수집된 278건의 침습성/비침습성 폐렴구균에 대한 혈청형 분석과 항생제 감수성 조사결과, 19A는 기존 프리베나 7가 백신에 포함되지 않은 혈청형 중 가장 흔하게 발견된 혈청형이었으며, 폐구균 백신이 출시되기 이전인 1995-1998년부터 2003-2005년까지 지속적으로 발생 비율이 증가했다.
한국화이자제약 의학부 최성준 전무는 “예방접종 주간을 맞아 프리베나13 보충접종에 대한 엄마들의 인지도 또한 높아져야 할 시점”이라며 “항생제 내성이 높아 치료가 어려운 19A 폐구균 혈청형 등, 프리베나13에 새로 추가된 6가지 혈청형에 대한 면역반응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기존 7가 폐구균 백신을 4회 모두 접종한 아이라도 프리베나13을 생후 72개월이 되기 전, 추가로 1회 보충접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프리베나13은 현재 전세계 90여 개 국에서 허가를 받고, 이미 미국과 유럽 주요 국가를 포함한 40여 개 국에서 국가필수접종 프로그램에 도입됐으며, 국내에서는 2010년 3월 한국식품의약품안전청의 허가를 받아 사용 중이다.
한편 보건복지부는 4월 24일부터 30일까지 세계보건기구가 지정한 예방접종 주간을 필두로 ‘건강한 내일을 여는 예방접종’ 슬로건 하에 대국민 예방접종 인식제고 캠페인을 진행한다. 이와 관련해 질병관리본부는 현재 국내 소아 대상 예방접종 기초 접종률은 90% 이상으로 높은 반면, 추가 접종률은 40%이하로 매우 낮기 때문에 이를 높이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최 훈희기자(uonlyfor@hanmail.net)
[최훈희 기자] 기사입력 2011-04-27, 13:13
- Copyrights ⓒ 성인병 뉴스 & cdpnew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