뼈는 10대 말까지 멈추지 않고 성장을 한 후에 30세까지 뼈의 강도가 강해져서 이즈음에 최대골량에 도달하게 됩니다. 여자에서는 최대골량에 이른 뼈는 처음에는 서서히 골소실을 보이다가 폐경 전후로 급격한 소실을 나타냅니다. 반면에 남자의 경우는 최대골량에 이른 후 서서히 감소하다가 70대에 이르러서 급격한 골 소실을 보입니다. 따라서 골다공증은 최대골량이 적게 생기거나 또는 적절하게 최대골량이 생성되 었어도 골소실이 항진될 경우에 유발되는 질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흔히 골다공증의 병발 원인이 명확한 경우를 이차성 골다공증이라고 하는데, 예를 들면 스테로이드과 대복용 갑상선 기능항진증,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40세 이전에 조기폐경이 생긴 경우, 성기능 저하증 등에 의해 흔히 발병합니다.
그러나 전체 골다공증 환자를 대상으로 볼 때 여성의 약 75%정도가 또 남성의 약 30~40%가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일차성 골다공증에 속하게 되는데, 이는 유전적 소인, 흡연 및 알콜섭취과다 등 그릇된 생활습관, 칼슘이나 비타민D의 섭취부족이나 운동부족에 따른 노화등 수없이 많은 요인들이 조금씩 복합적으로 얽혀서 골다공증이라는 질환으로 표현된 것입니다.
■ 이런 사람은 골다공증을 의심해 보자.
(1) 성인이 되어 가벼운 외상으로 이미 뼈가 부러졌던 경험이 있는 경우
(2) 어머니나 할머니, 혹은 자매중 누군가 골다공증으로 진단을 받은 경우
(3) 장기간에 걸쳐 스테로이드 계통의 약이나 간질발작 치료제 등을 복용 한 경우
(4) 갑상선 기능 항진증이 있는 경우
(5) 폐경기 이전에 난소를 제거하는 자궁 절제 수술을 받고 여성호르몬 대체요법
을 실시하지 않은 경우
(6) 월경이 장기간 없었던 경험이 있었거나, 임신이 아닌데도 6개월이상 월경이
중단된 경우
(7) 6개월이상, 특히 사춘기때 장기간 질환으로 몸을 거의 움직이지 못한 경험이
있는 경우나 체중이 크게 미달되는 사람.
(8) 칼슘이나 비타민 D의 섭취가 적은 사람
(9) 커피, 담배를 많이 하거나 술을 자주 마시는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