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VDT 증후군이 발생하면 가능한 VDT 작업을 줄이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VDT 증후군 크리닉에서는 견비통(목, 어깨, 팔, 등, 허리 등의 통증)을 중점적으로 치료하며, 각 원인 및 증상에 따라 한약요법, 침구요법, 한방 물리요법 등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1.한약요법
목과 어깨 등에 통증이 발생하는 원인(풍, 한, 습, 어혈, 담음, 칠정 등)과 증상에 따라 알맞은 한약을 복용하게 되면 통증을 근본적으로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입니다.
2.침구요법
(1) 약침요법- 한약재에서 추출한 정제된 성분을 혈자리에 주입하는 방법으로 담음, 어혈로 인해 생긴 통증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2) 봉침요법- 벌침에서 추출한 정제된 성분을 혈자리에 주입하는 방법으로 컴퓨터 과사용으로 인한 건염, 인대의 염증 및 만성 근육염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입니다.
3. 한약찜 요법
통증의 원인에 따라 알맞은 한약재를 찐 후 통증 부위에 찜질합니다. 한약재를 이용하므로 일반찜질보다 통증 감소 및 치료 효과가 뛰어납니다.
4.일반 물리요법
(1) 마이크로요법 - 마이크로 파장을 이용하여 정확하게 통증 부위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방법입니다.
(2) 소노이드요법 - 회오리 파장을 이용하여 뭉친 근육을 신속하게 풀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1. 컴퓨터 스크린에 실내조명이 반사되지 않도록 한다.
2. 목, 어깨, 등, 팔, 팔목, 손, 손가락, 발의 혈액순환을 위해 20분에 한 번씩 1~2분 정도 가벼운 스트레칭을 한다.
3. 모니터는 높이를 눈 높이보다 낮추며 목을 한 쪽으로 돌려 보지 않도록 몸의 중앙에 놓는다.
4. 컴퓨터를 사용할 때는 팔꿈치 위 부분은 어깨에서 자연스럽게 떨어뜨리고 팔꿈치 아래 부분은 팔꿈치에서 직각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이상적인 자세이다.
5. 50분 작업, 10분 휴식 간격을 지키고 휴식을 취할 때도 창 밖이나 먼 곳을 바라봄으로써 눈의 긴장을 풀어주고 가벼운 체조로 몸의 긴장을 풀어준다.